구기자의 세상만사

UN유엔군 사령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구충모 작성일23-11-21 16:25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전국기자협회=구충모 기자] 유엔군 사령부는 6.25 한국전쟁 당시 한국을 제외한 총 22개국 ( 병역지원 16개국 의무지원 6개국)으로 구성되어 1953년 7월 27일 정전 당시 93만의 병력 규모로 출발해 70년을 이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048ed3bce4d630eb42671a3686c589f1_1700551468_1652.jpg
 

북한의 무력도발 억제와 남북간의 평화유지의 중심축으로 유엔군 사령부의 창설 70주년에 즈음하여 한국과 17개 유엔군사령부의 회원국 국방장관 및 주한대사 등이 '제1회 한국 유엔사 국방장관회의가 지난 14일 열렸다. 


048ed3bce4d630eb42671a3686c589f1_1700551455_4667.jpg
 


문재인정부 당시 종전선언 분위기로 유엔군사령부는 해체의 위기까지 거론되는 듯 했으나 윤석열 정부 들어 분위기는 반전되고 있다. 한국군 참모부의 참여와 회원국의 한미연합 연습기회 회의정례화 등 유엔사의 적정 규모화가 진행되고 있다. '


한반도에서 대한민국의 안보를 위협하거나 무력공격이 재개될 경우 유엔사 회원국들이 공동대응을 천명하고 외연의 확장과 평화를 북한의 오판을 사전에 경고하고 항구적인 평화와 전쟁억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048ed3bce4d630eb42671a3686c589f1_1700551423_071.jpg
048ed3bce4d630eb42671a3686c589f1_1700551432_1193.jpg
048ed3bce4d630eb42671a3686c589f1_1700551437_7857.jpg
 

유엔사는 1950년 6.25전쟁 발발직후 UN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남침을 파괴행위로 규정하고 '전쟁중지에 관한 유엔결의'를 채택했다. 이에 1950년 7월14일 미국의 극동군 사령관이자 주일미군 사령관을 겸직하고 있던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에게 유엔군 사령부 총사령관의 부대기가 전달된다.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한국군에 대한 작전지휘권 일체를 유엔군 사령관에게 이양해 1950년 9월15일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시킴으로써 반전의 발판을 마련했다.


2018년 제50차 한미안보협의화에서 '미래의 한미연합사는 한국군 4성장군이 사령관을, 미국 4성 장군이 부사령관을 맡도록 한다'는 공동 약속으로 전시작전통제권의 전환을 준비해 오고 있다. 


048ed3bce4d630eb42671a3686c589f1_1700551409_7324.jpg
 

어쩌면 북한이 좌경화 선전선동으로 주한미군의 철수와 유엔군 사령부 즉 한미동맹의 와해와 유엔사의 해체 등을 줄곧 주장해 오는 것을 보면 9.11 선언의 파기와 함께 오히려 한미일 연합작전의 강화 및 유엔사의 역할과 기능은 더 더욱 강화되어야 할 시점이다.  


048ed3bce4d630eb42671a3686c589f1_1700551391_5974.jpg
048ed3bce4d630eb42671a3686c589f1_1700551500_4136.jpg
048ed3bce4d630eb42671a3686c589f1_1700551527_1559.jpg
048ed3bce4d630eb42671a3686c589f1_1700551538_8041.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